JpaItemRepositoryV1 코드를 분석해보자.

 

 

save() - 저장

public Item save(Item item) {
em.persist(item);
return item;
}

em.persist(item) : JPA에서 객체를 테이블에 저장할 때는 엔티티 매니저가 제공하는 persist() 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

 

 

 

JPA가 만들어서 실행한 SQL

insert into item (id, item_name, price, quantity) values (null, ?, ?, ?)
또는
insert into item (id, item_name, price, quantity) values (default, ?, ?, ?)
또는
insert into item (item_name, price, quantity) values (?, ?, ?)

 JPA가 만들어서 실행한 SQL을 보면 id 에 값이 빠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K 키 생성 전략을 IDENTITY 로 사용했기 때문에 JPA가 이런 쿼리를 만들어서 실행한 것이다. 물론 쿼리 실행 이후에 Item 객체의 id 필드에 데이터베이스가 생성한 PK값이 들어가게 된다. (JPA가 INSERT SQL 실행 이후에 생성된 ID 결과를 받아서 넣어준다)

 

 

 

PK 매핑 참고

@Entity
public class Item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

 

 

 

update() - 수정

public void update(Long itemId, ItemUpdateDto updateParam) {
Item findItem = em.find(Item.class, itemId);
findItem.setItemName(updateParam.getItemName());
findItem.setPrice(updateParam.getPrice());
findItem.setQuantity(updateParam.getQuantity());
}

 

 

 

JPA가 만들어서 실행한 SQL

update item set item_name=?, price=?, quantity=? where id=?

 em.update() 같은 메서드를 전혀 호출하지 않았다. 그런데 어떻게 UPDATE SQL이 실행되는 것일까?
 JPA는 트랜잭션이 커밋되는 시점에, 변경된 엔티티 객체가 있는지 확인한다. 특정 엔티티 객체가 변경된 경우에는 UPDATE SQL을 실행한다.
 JPA가 어떻게 변경된 엔티티 객체를 찾는지 명확하게 이해하려면 영속성 컨텍스트라는 JPA 내부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이 부분은 JPA 기본편에서 자세히 다룬다. 지금은 트랜잭션 커밋 시점에 JPA가 변경된 엔티티 객체를 찾아서 UPDATE SQL을 수행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테스트의 경우 마지막에 트랜잭션이 롤백되기 때문에 JPA는 UPDATE SQL을 실행하지 않는다.
테스트에서 UPDATE SQL을 확인하려면 @Commit 을 붙이면 확인할 수 있다.

 

 

findById() - 단건 조회

public Optional<Item> findById(Long id) {
Item item = em.find(Item.class, id);
return Optional.ofNullable(item);
}

 JPA에서 엔티티 객체를 PK를 기준으로 조회할 때는 find() 를 사용하고 조회 타입과, PK 값을 주면 된다. 그러면 JPA가 다음과 같은 조회 SQL을 만들어서 실행하고, 결과를 객체로 바로 변환해준다.

 

 

 

 

JPA가 만들어서 실행한 SQL

select
  item0_.id as id1_0_0_,
  item0_.item_name as item_nam2_0_0_,
  item0_.price as price3_0_0_,
  item0_.quantity as quantity4_0_0_
from item item0_
where item0_.id=?

JPA(하이버네이트)가 만들어서 실행한 SQL은 별칭이 조금 복잡하다. 조인이 발생하거나 복잡한 조건에서도 문제 없도록 기계적으로 만들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듯 하다.


JPA에서 단순히 PK를 기준으로 조회하는 것이 아닌, 여러 데이터를 복잡한 조건으로 데이터를 조회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findAll - 목록 조회

public List<Item> findAll(ItemSearchCond cond) {
   String jpql = "select i from Item i";
   //동적 쿼리 생략
   TypedQuery<Item> query = em.createQuery(jpql, Item.class);
   return query.getResultList();
}

 

 

 

 

 

 

JPQL

JPA는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이라는 객체지향 쿼리 언어를 제공한다.
주로 여러 데이터를 복잡한 조건으로 조회할 때 사용한다.
SQL이 테이블을 대상으로 한다면, JPQL은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SQL을 실행한다 생각하면 된다.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from 다음에 Item 엔티티 객체 이름이 들어간다. 엔티티 객체와 속성의 대소문자는 구

분해야 한다. JPQL은 SQL과 문법이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JPQL을 실행하면 그 안에 포함된 엔티티 객체의 매핑 정보를 활용해서 SQL을 만들게 된다.

 

 

 

실행된 JPQL

select i from Item i
where i.itemName like concat('%',:itemName,'%')
and i.price <= :maxPrice

 

 

 

JPQL을 통해 실행된 SQL

select
   item0_.id as id1_0_,
   item0_.item_name as item_nam2_0_,
   item0_.price as price3_0_,
   item0_.quantity as quantity4_0_
from item item0_
where (item0_.item_name like ('%'||?||'%'))
   and item0_.price<=?

 

 

파라미터

JPQL에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where price <= :maxPrice
 파라미터 바인딩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query.setParameter("maxPrice", maxPrice)

 

 

 

동적 쿼리 문제

JPA를 사용해도 동적 쿼리 문제가 남아있다. 동적 쿼리는 뒤에서 설명하는 Querydsl이라는 기술을 활용하면 매우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무에서는 동적 쿼리 문제 때문에, JPA 사용할 때 Querydsl도 함께 선택하게 된다.

 

 

 

 

 

 

 

 

 

 

 

 

 

 

 

 

처 : 김영환 스프링 DB2 강의

'데이터 접근 기술 > J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적용3 - 예외 변환  (0) 2022.08.19
JPA 적용1 - 개발  (0) 2022.08.18
JPA 설정  (0) 2022.08.18
복사했습니다!